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2020년 5G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을 가속화 하겠다고 밝히며, 2021년까지 85개 시 주요 행정동에 네트워크 구축하겠다고 밝혔지만, 여전히 5G 커버리지 및 속도 품질을 좌우하는 무선국 및 장치가 서울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과기정통부가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2021년 8월 기준 통신 3사의 5G 커버리지, 무선국 수, 장치 수' 자료를 확인한 결과 커버리지 km2 당 면적(이하 면적) 기준 무선국 수는 서울 20국, 6대 광역시 6국, 10 개시·도 3.3국이었으며, 커버리지 면적당 장치 수는 서울 41.5대, 6대 광역시 12.6대, 10 개시·도 6.4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 계획을 통해 2020년은 서울·6대 광역시의 투자에 집중하고, 2021년 10 개시·도의 78개 주요 행정동까지 투자를 확대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올해 8월 기준 커버리지 면적당 무선국 및 장치 수를 확인한 결과, 올해 투자계획을 밝힌 10개 시도의 무선국 국수는 서울 대비 16%에 불과했고, 6대 광역시 대비 5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치 수는 서울 대비 15.4%, 6대 광역시 대비 50.7%로 절반 수준이었다.
올해 확대 대상인 78개 주요 행정동에서 가장 많은 커버리지를 확보한 사업자는 LGU+로 총 9213.71km2 면적에 커버리지를 구축했지만 무선국 수 및 장치수는 SKT가 3만 1169개국 및 6만 4258대로 가장 많이 구축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해 변 의원은 "지난해 5G 품질과 관련해 지방소외 문제가 지적됐지만, 일부에서는 투자 초기인 점 및 올해 85개 주요 행정동까지로의 확대계획 등이 올해 추진된다는 점을 고려해 올해는 서울 이외의 도시에도 충분한 투자가 이뤄지길 많은 국민들께서 기대했을 텐데, 기지국 및 장치 수가 서울 및 대도시권 위주로 추진된 것은 지방가입자에 대한 차별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