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코로나19로 예술인들의 심리상담 사업 신청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인 심리상담 사업'은 예술창작활동 중 예술인의 스트레스 해소 등을 위해 전문적인 심리상담을 제공해 예술활동을 지속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유정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6일 공개한 예술인복지재단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예술인 심리상담 사업 신청건수가 전년대비 127%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상담을 신청한 예술인은 522명이었으나, 2020년에는 1186명으로 2.3배 증가했다. 올해도 8월 말 기준, 921명이 신청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인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상담신청한 예술인은 평균 516명이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늘어난 신청건수는 코로나19로 예술활동 중단, 연기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유 의원은 분석했다.
4년 8개월간 예술인 심리상담 사업의 지역별 신청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이 1942명(53.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경기 890명(24.4%), 인천 185명(5.1%), 대전 111명(3%), 부산 78명(2.1%), 대구 76명(2.1%) 순이었다.
서울·경기·인천·대전을 제외한 타 시·도는 모두 신청률 3%를 넘지 못했다. 또한 전국에 지정된 36개의 심리상담센터 중 울산·전북·전남에는 지정된 센터가 아예 없었다.
뿐만 아니라 지역별 예술활동증명 발급률과 상담센터에 편차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6415명이 예술활동증명을 발급받은 경남의 경우 전체의 5.3%를 차지하고 예술인이 4번째로 많지만 경남 내 지정된 심리상담센터는 1곳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유 의원은 "코로나19로 예술활동이 연기·취소된 예술인이 늘어난만큼 불안함과 상실감 등으로 심리상담 신청건수가 폭증한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라며 "예술인의 심각한 우울 경험비율이 일반인의 6배 수준이라는 결과도 있듯, 많은 예술인이 심리상담을 쉽게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의원은 "울산, 전북, 전남의 경우 상담센터가 지정조차 돼있지 않아 심리상담을 받기 위해선 타·시도로 이동해야하는 상황"이라며 "전화상담을 먼저 하고 심층상담이 필요할 경우 대면상담을 진행하는 등의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