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된 굴 등 어패류 섭취·대인 접촉 통해 감염

(내외방송=박창득 기자) 경상북도가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겨울철 식중독 예방을 위해 주의를 당부했다.
경북도청에 따르면, 최근 6년간(2017~2022년) 겨울철(12~2월) 식중독 발생 건수는 17건(230명)으로 이 중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은 35%를 차지했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영하 20도에서도 생존이 가능해 겨울철에도 자주 발생한다.
겨울철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굴 등 어패류 섭취를 통해서나 대인 간 접촉, 비말을 통해 2차 감염을 일으키며 감염력이 매우 강하다.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2~48시간 잠복기를 거친 후 설사와 구토, 복통과 오한, 발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실내활동이 많아지는 시기로서 노로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만큼 비말 등 2차 감염이 전파되지 않도록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 씻기) 음식 조리 전·후, 재료 손질 후, 화장실 사용 후 손을 씻고, 음식 조리 시 위생 장갑 착용 ▲(끓여 먹기, 익혀 먹기) 지하수 끓여서 사용하고, 어패류는 85도에서 1분 이상 완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세척·소독하기) 과일·채소류는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세척, 조리 기구는 열탕 소독하거나 살균소독제로 소독 후 세척 ▲(접촉 주의하기) 증상이 있는 사람은 식품 조리 참여 중단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 조리에서 배제해야 한다.
황영호 복지건강국장은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사람 간 접촉을 통해서도 쉽게 전파되므로 확산 우려가 크다"며 "여러 사람의 손이 닿기 쉬운 부분을 자주 닦아 소독하고, 충분히 환기시키는 등 철저한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