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김준호 기자) 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초저금리 시대를 맞게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융위기 대응에 준하는 선제적 금리 인하 처방을 내놨다.
전 세계가 불확실성 고조에 재정, 통화정책을 동원하면서 우리나라도 일정부분 보조를 맞출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예금 생활자들의 소비를 위축하고 자칫 부동산 시장을 요동치게 할 수 있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으로선 고심할 수밖에 상황이다.
금융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로 보고 있다. 8일 학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다음 달 9일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에서 1.00%로 0.25%P 인하하는 것을 사실상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한은이 지난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향후 코로나19의 추이를 좀 더 지켜보겠다고 말했지만, 아직 개선 기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코로나 확진자 수가 다소 안정화되고 있으나 아직 변곡점을 만들었다고 보기 어렵고, 정부의 위기 경보단계 역시 ‘심각’ 등급이 유지되고 있다.
지난 3일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들이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1.50~1.75%에서 1.00~1.25%으로 0.5%P 전격 인하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연내에 2차례 안팎 금리를 더 내릴 것이란 관측도 있다.
이미 제로금리를 운용하고 있는 유럽중앙은행(ECB)이나 일본은행(BOJ)은 추가 유동성 공급 조치를 취했거나 준비하고 있다. 세계 주요국이 제로금리를 준비하거나 운영하는 상황에서 더 많은 유동성을 시장에 공급하는 상황이 연출된 것이다.
정부도 11조 7천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면서 재정정책뿐 아니라 통화정책도 준비하는 분위기이고, 한은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 압박이 될 수 있다. 한은이 내달 기준금리 인하를 0.25%P만 낮추면 역대 최저치인 1.00%로 떨어지게 된다.
1%대 초반인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 기준금리는 사실상 '제로금리'가 된다. 1월 말 잔액 기준 예금은행의 총수신 금리는 연 1.21%로 한은의 기준금리 1회 인하분을 반영하면 0%대 진입을 말한다. 같은 시점 잔액기준 총대출금리는 3.38%였다.
제로금리는 돈 빌리는 가격을 낮춰 내수를 자극하고, 이로써 경기 회복을 꾀하는 통화정책이다. 다만 장기간 저금리 상황에서도 반응하지 않던 경기가 금리를 추가 인하한다고 반등할 수 있겠느냐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현금이 흘러넘쳐도 기업이 추가 생산하지 않고 투자와 가계 소비가 늘지 않으면 목표한 성과가 나올 수 없다. 대신 대출금리가 낮아지면 예금금리도 낮아지는데, 이 경우 예금이자 생활자들의 소비 위축이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