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김승섭 기자) 군사기밀은, 국민의 생명과 직결되는 것은 물론, 방위산업, 첨단기술업과 더불어 유출될 경우 국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5년간 128건의 군사기밀이 누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교급 이상에서 유출된 건수가 약 70%에 달하며 군 기강해이 문제가 극에 달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조명희 국민의힘 의원이 26일 국방부에서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비밀 분실·도난·유출 사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16년부터 2021년 8월까지 Ⅱ·Ⅲ급 비밀 총 128건이 분실되거나 도난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사기밀보호법에 따르면, 군사기밀은 ‘누설되면 국가안보에 명백한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정보’로 정의된다.
위험 정도에 따라 І~Ⅲ으로 나뉘는데, Ⅱ급 비밀은 '현저한 위험', Ⅲ급 비밀은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기밀을 뜻한다.
특히 장교급 이상에서 군사기밀 유출이 많았다. 전체 128건 중 장교급 이상에서 기밀이 누출된 건수는 89건으로 전체의 70%에 달한다.
세부 사례를 들여다보면 ▲비밀통화 휴대전화(비화폰) ▲통신 전자시설 운영에 관한 일체의 사항을 수록한 '통신전자운용지시' 등 다양한 분실·도난 사례가 발생했다.
문제는 문 정부 출범 이후부터 군사기밀 누출 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는 점이다.
지난 2016년 8건이던 누출 건수는 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15건으로 늘어나 2018년 28건, 2019년 35건, ,2020년 29건, 2021년 8월까지 13건으로 증가했다.
이에 최근 북한이 신형 장거리 순항미사일을 연속 발사하는 등 국가안보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군 기강 확립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 의원은 "북한의 도발에도 무뎌진 안보의식에 군 기강 해이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이런 상태에선 국방개혁은 헛구호에 불과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무너진 군 기강을 바로 세우는 게 시급한 과제다. 관련자들을 철저히 조사해 문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