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대로 늘리고 줄이고...외부 자극에 강한 '아일랜드 어레이'
마음대로 늘리고 줄이고...외부 자극에 강한 '아일랜드 어레이'
  • 정지원 기자
  • 승인 2022.07.07 13: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단단한 아일랜드 어레이...강한 기계적 결합
부드러운 소재와 결합해 피부에도 붙일 수 있어...전자 피부
디스플레이 등을 원하는 대로 늘리거나 줄이기 가능
(왼쪽부터)스티브 박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기계공학과 교수, 양준창 신소재공학과 박사와 이승규 박사과정.(사진=KAIST)
(왼쪽부터)스티브 박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기계공학과 교수, 양준창 신소재공학과 박사와 이승규 박사과정.(사진=KAIST)

(내외방송=정지원 기자) 신축성이 강한 소재로 전자장치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KAIST는 7일 '내외방송'에 자료를 보내 "스티브 박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대관람차 모양의 단단한 아일랜드 어레이(배열)를 기반으로 신축성 기판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일랜드는 부드러운 폴리머(화합물) 내부에 존재하는 칩 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단단하고 평평한 얇은 판을 말한다.

아일랜드 구조의 효과적인 응력(물체를 이루는 힘) 분산을 통해 칩 주변의 폴리머가 대신 늘어나면서 신축성을 띠는 전자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고신축성 고안정성 신축성 전자장치를 위한 대관람차 모양의 아일랜드 설계, 특성 평가.(사진=KAIST)
고신축성 고안정성 신축성 전자장치를 위한 대관람차 모양의 아일랜드 설계, 특성 평가.(사진=KAIST)

연구팀은 신축성 있는 전자장치의 아일랜드 디자인을 기하학적으로 만들어 아일랜드와 그 주변 폴리머 기판과 기계적 결합을 강하게 하는 설계를 했다.

대관람차 모양으로 디자인된 단단한 아일랜드는 기존의 원이나 사각형 모양과 달리 다양한 방향의 변형에도 견딜 수 있으며 화학적 결합 없이도 모든 폴리머 재료에 응용 및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단단한 아일랜드 어레이 구조는 늘어나는 폴리머 소재와 결합해 신축성 있는 전자장치 구현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모든 방향으로 쉽게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으면 태블릿PC나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화면을 늘려 비디오 시청을 쉽게 하거나 크기를 줄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편리한 기능을 가진 스트레쳐블 일렉트로닉스는 전도유망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전자장치가 변형됐을 때 단단한 아일랜드와 부드러운 폴리머 사이에는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 전극의 안정성이 취약해진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적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변형 저항성을 증가시킨 대관람차 모양의 아일랜드 디자인을 개발했다.

대관람차 모양의 아일랜드를 활용한 신축성 디스플레이, 신축성 배터리팩, 촉각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전자 피부.(사진=KAIST)
대관람차 모양의 아일랜드를 활용한 신축성 디스플레이, 신축성 배터리팩, 촉각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전자 피부.(사진=KAIST)

이 디자인은 ▲반복적인 잡아늘리기 ▲비틀면서 늘리기 ▲강하게 찌르기 ▲구기고 밟기 등 실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외부 자극과 유사한 상황에서 약 1000회 동안 안정성을 보였다.

아일랜드와 폴리머 사이에서 찢어지는 것을 제어해 탄성 계수가 다른 다양한 폴리머들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더 나아가 연구팀은 아일랜드 위에 LED 칩과 동전형 전지를 부착해 신축성 있는 디스플레이와 배터리 팩을 구현했다.

또, 자체 제작한 촉각 센서를 활용해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전자 피부를 만들었다.

전자 피부는 사용자의 맥박과 관절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하는 차세대 헬스케어 기기로 이용될 수 있다.

기하학적으로 설계된 대관람차 아일랜드 전자장치는 신축성이 필요한 전자장치 분야에 적용돼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티브 박 교수는 "향후 신축성 전자장치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혹독한 조건에서도 높은 내구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다양한 변형 모드에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신축성 전자장치를 제작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표지.(사진=KAIST)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표지.(사진=KAIST)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방광 부착형 센서와 신경 자극 및 활동전위 감지 소재 및 소자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양준창 KAIST 신소재공학과 박사와 이승규 박사과정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지난달 표지논문으로 출판됐다(논문명: Geometrically engineered rigid island array for stretchable electronics capable of withstanding various deformation modes).

 


관심기사

오늘의 이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법인 : (주)내외뉴스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4690
  • 인터넷신문등록일자 : 2017년 09월 04일
  • 발행일자 : 2017년 09월 04일
  • 제호 : 내외방송
  • 내외뉴스 주간신문 등록 : 서울, 다 08044
  • 등록일 : 2008년 08월 12일
  • 발행·편집인 : 최수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3 (뉴스센터)
  • 대표전화 : 02-762-5114
  • 팩스 : 02-747-534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유진
  • 내외방송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내외방송.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nwtn.co.kr
인신위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