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임동현 기자) '아르헨티나의 트럼프'로 불리는 하비에르 밀레이가 19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대통령에 당선됐다.
밀레이 자유선진당 후보는 이날 열린 대선 결선 투표에서 55.86%를 득표해 집권당의 세르히오 마사(44.13%)를 물리치고 승리했다.
앞서 지난달에 열린 본선 투표에서는 마사 후보(36.78%)가 밀레이 후보(29.99%)에 앞섰지만 1, 2위 후보끼리 맞대결한 결선투표에서밀레이 후보가 역전했다.
앞서 본선에서 3위를 차지한 중도 우파 야당의 패트리샤 불리치 후보가 밀레이 지지를 표명하면서 결선 투표의 표심은 오리무중인 상황이었다. 불리치 후보는 본선에서 약 24%의 득표율을 얻었었다.
밀레이는 2021년부터 하원의원을 지냈지만 사실상 '아웃사이더'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하지만 지난 8월 예비선거에서 마사와 불리치를 제치고 깜짝 1위를 차지하면서 일약 주목을 받게 됐다.
그는 자신을 '자유주의자'라고 칭했으며 유세 현장에서 전기톱을 휘두르는 등 과격한 표현과 행동으로 기성 정치권에 대한 반감을 표시했으며 아르헨티나 페소화를 달러로 대체하는 달러화 도입, 중앙은행 폐쇄, 장기매매 허용 등 과격한 공약을 내세웠다.
특히 페소를 "똥만도 못하다"라고 표현하는 등 언행 역시 과격함을 보이면서 국제 사회에서 '아르헨티나의 트럼프'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밀레이의 이번 승리는 연간 142%의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는 아르헨티나 국민들이 현 정부에 대한 분노를 표출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결선에서 맞붙은 마사가 현 정부의 경제장관이라는 점에서 '심판론'이 힘을 얻고 있는 중이다.
한편 CNN은 "전 브라질 대통령이었던 보우소나루가 밀레이의 출마를 지지했고 룰라 브라질 대통령,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 등 좌파 지도자들이 마사 지지를 위해 '불개입'의 전통을 버렸다"면서 "밀레이의 예상치 못한 상승은 전 세계적으로 극우 포퓰리즘이 부활할 가능성이 있다는 징후로 조사될 것"이라고 전했다.
CNN은 또 "마사는 현 정부의 조치가 고통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생활비 위기로 지친 유권자들을 설득시키지 못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