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수현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2023년도 하수역학 기반 불법마약류 사용행태'를 오늘(29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지난 2020년부터 매년 식시해 온 조사다.
연구팀은 전국 17개 시도별 최소 1개 이상, 전체 인구의 50% 이상을 포괄하되 산업·항만 지역 등을 추가 대표 하수처리장을 선정하고, 이곳에서 하수를 연간 분기별로 4회 채집해 주요 불법 마약류 성분인 필로폰(메트암페타민)·암페타민·엑스터시(MDMA)·코카인 등의 검출량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알려진 불법마약류인 '필로폰'(메트암페타민)은 4년 연속으로 모든 하수처리장에서 검출됐다. 다만 1,000명 당 일일 평균 사용 추정량은 2020년 24.16mg에서 2023년 14.40mg으로 줄어드는 추세다.
'코카인'은 전국 평균 사용 추정량이 증가했고, 그간 서울 지역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지난해에는 '세종'에서 처음으로 15.46mg이 검출돼 마약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지역별 사용추정량을 보면 필로폰의 경우 경기 시화 및 인천이 높았고, 암페타민의 경우 청주와 광주에서, 엑스터시는 경기 시화와 목포, 코카인은 서울과 세종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식약처는 그간 실시해 오던 특정물질 위주의 분석과 대사체를 포함한 다빈도 검출 물질 분석을 병행해 필요시 임시마약류나 마약류로 지정하고 신종마약류를 탐지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조사를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관심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시‧도보건환경연구원과 협업해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실태조사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하수역학 기반 마약류 실태조사 결과 상세 데이터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표누리집 참조(mfds.go.kr → 정책정보 → 마약 정책정보 →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