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투신 등 안전사고 예방… 안전종합대책도 적극 추진

스크린도어 설치는 2015년에 광역철도 139개역에 총사업비 5,709억원을 투자하기로 하고,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설치를 시작했으며, 2017년 7월말 기준 도농역(경의중앙선), 송도역(수인선) 등 25역을 설치했고, 나머지 114역도 계획대로 설치 중에 있다.
2017년 말까지 광역철도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면, 최근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승객의 선로 추락사고 등을 예방하고, 승강장의 먼지·소음이 감소되는 등 승객이 더욱 안전하고 쾌적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8월 2일 안산선 중앙역(지하철 4호선)에서 승객 투신사고가 발생하는 등 최근 5년간 총 25건의 승객 추락·투신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향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 승객의 선로 추락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승객의 추락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아울러, 구의역, 김포공항역 등에서 발생한 스크린도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승강장 안전문 안전종합대책, (‘17. 2. 8., 보도자료)‘을 마련해 적극 추진하고 있다.
노후화돼 고장이 빈번히 발생하는 센서, 구동부 등 부품을 교체하고 있으며,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에 승강장 안전요원을 배치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또한, 열차 내 화재 등 비상 시 승객의 탈출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스크린도어의 고정식 안전보호벽을 개폐식으로 개선하기 위한 예산을 ‘17년 추경을 통해 확보(도시 284억원, 광역 60억원)해 시설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박영수 철도시설안전과장은 “금년 말까지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될 수 있도록 공정 및 품질에 대한 점검을 철저히 하겠다”며, “아울러, 스크린도어 고장·사고가 최소화 되도록 안전대책도 충실히 이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내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