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지선 기자) 코로나19가 공기 전염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결과가 나와 화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환기가 잘 안 되는 실내 등 이례적 환경에서 공기를 통한 전파 가능성에 대해 인정했다.
CDC는 5일(현지시간) 코로나19의 전염 방식에 대한 지침을 업데이트 하며 이같이 밝혔다.
CDC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자가 6피트(약 1.8m) 이상 떨어져 있던 다른 사람, 또는 이 환자가 어떤 지역을 떠난 직후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이례적인 상황을 입증하는 보고서가 발행된 적 있음을 인정한다고 밝혔다.
CDC는 환기가 잘 안 되는 폐쇄된 공간에서 일어났으며, 노래나 운동 등 더 강한 호흡을 유발하는 활동과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이어 CDC는 “다만 그러면서도 우리는 현재의 과학에 근거해 코로나19 환자와 더 오래, 더 가까이 있을수록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는 콧물이나 침 등 비말이 주된 전염 방식이지만, 폐쇄된 환경에서는 공기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감염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CDC는 앞선 지난달 코로나19가 공기를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고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사흘만에 “실수였다”며 이를 삭제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당시 CDC는 권고문에서 “비말이나 공기 중 입자가 공기 중에 떠돌다가 다른 사람이 이를 들이마시거나 6피트 이상까지 퍼진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흘 뒤 CDC는 “확정되지 않은 권고문 초안인 실수로 홈페이지에 게시됐다”면서 “권고를 업데이트 중이고 이 절차가 끝나면 업데이트 된 문구를 게시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