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지선 기자)코로나 19 팬더믹 시기, 어린이들과 20대 30대 여성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두르러져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우울증 및 스트레스 진료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 회수가 2030 여성들은 코로나19 시기에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소아청소년의 경우 2021년 코로나 2년차 시기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울 관련 진료의 경우 20대와 30대에서는 2020년 22.7%, 8.7%로 증가했고 2021년 11.4%, 10.5%의 증가해 매년 우울 관련 진료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증가세는 여성에서 두드러졌다. 9세 이하에서 2020년 상반기의 우울 관련 진료량이 –5.1%로 감소했으나 2021년 상반기에 32.4%로 증가했으며 10대에서는 2020년 상반기 –9.0%로 감소하다가 2021년 상반기 17.4%로 늘었다.
스트레스 관련 진료 현황을 살펴보면, 코로나 이후 20대에서 35.2%로 가장 큰 폭으로 진료량이 증가했고 그 중 여성에서 49.0% 늘었다.
또 전 연령에서 여성이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40대의 경우 남성에서 25.6%가 늘어 여성(23.2%)보다 소폭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의 경우 2020년 상반기에는 –22.5% 감소했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58.0%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10대의 경우에도 2020년 상반기에는 –18.8% 감소하였으나, 2021년 상반기에는 28.4% 늘었다.
이에 대해 신 의원은 "코로나 장기화로 전 국민이 코로나 우울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그 중 가장 취약한 소아청소년과 2030 여성에게서 정신건강 진료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이제는 단계적 일상 회복을 준비 적용해야 하는 시점에서, 우울과 스트레스 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국민 신체, 정신건강유지 및 빠른 대처를 위해 국가적인 제도의 기반을 마련해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