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과학자 육성을 위한 5가지 제도개선 추진전략, 연말까지 마련예정...

(내외방송=한병호 기자) 보건복지부는 의사과학자(MD-PhD) 육성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해 관계부처와 의료계 전문가가 참여하는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범부처협의체'를 1일 발족시켰다.
이번에 출범한 범부처 협의체는 의사 과학자 육성을 위한 5개 과제 개선방안에 대해 연말까지 구체적 추진전략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의사 과학자(Physician Scientist, MD-PhD)란 의사면허 소지자면서 과학연구를 수행하는 과학자로서, 치료제·백신 등 신약개발, 난치병 극복 등에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5가지 과제는 ▲의학과 이·공학 융합교육을 위해 현행 '예과 2년+본과 4년'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 ▲의사과학자 군복무 문제 개선 ▲의과대학평가 개선 ▲기초의학 및 의과학연구 활성화 ▲의과학자 진로다양성 확대를 위한 연구의사 생태계 조성 방안 등이다.
'의사과학자양성을 위한 범부처협의체'(이하 '범부처 협의체')는 보건복지부 제2차관을 위원장으로 보건복지부, 교육부, 의료계 전문가 등 관계부처와 관련 민간 전문가 대표를 위원으로해 총 10명이 구성됐다.
이번 범부처 협의체 구성은 그간 의사과학자 양성 사업을 추진하면서 시행된 참여자 간담회,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 "예산 지원뿐 아니라 제도개선이 병행돼야 효과적으로 의사과학자를 육성할 수 있다"라는 현장 의견을 수렴해 결정됐다.
범부처 협의체는 1일 1차 회의를 시작해 5개 과제별 실무회의를 거쳐 12월 말 경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정책 및 제도개선 세부 추진 전략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부 정윤순 첨단의료지원관은 "코로나19에서 경험했듯이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바이오메디컬 분야를 선도할 의사과학자의 육성이 절실하다"며 "효과적인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서는 예산을 통한 지원 뿐 아니라 현실적인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협의체를 통해 연말까지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군 복무, 고용 및 진로 문제 등 제도 개선 추진 전략을 마련해 첨단의료를 선도하는 연구의사들이 확대 배출되는 기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