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선 "국방부도 대통령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의견

(내외방송=권희진 기자)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대통령 선거 기간 공약한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린다는 약속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국민에게 약속한 공약 실천의 첫발을 뗀셈이다.
윤 당선인은 이날 "현 청와대 대신 국방부를 대통령 집무실로 삼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국방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즉각 반발했다.
민주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윤 당선인의 집무실 졸속 이전은 안보 해악의 근원"이라며 "대통령 경호를 위해 용산 주민의 기본권이 과도하게 제한, 집무실을 용산으로 이전할 경우 용산 주변과 남산 일대에 추가적인 군사시설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통령 경호를 위해 대통령 경호부대인 1경비단의 재배치가 불가피하다"며 "특히, 용산지역 상공은 비행금지구역으로 재설정돼 이 지역 상공은 철저한 통제 대상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아울러 "현 청와대는 외국 국빈영접 및 의전행사, 경호 등을 위해 40만㎡를 사용하고 있다"며 "반면 국방부 부지는 전체 면적이 27.6만㎡이고, 이 좁은 부지에 국방부본부, 합참, 국방부 근무지원단, 조사본부, 시설본부,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 군사법원, 검찰단, 군비통제단 인원 등 4000여명 이상의 장병, 공무원, 군무원이 생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민주당의 주장과 달리 윤 당선인은 우리 국방력에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국방부 청사를 사용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보수 정권이 들어서면 대북관계가 냉각된 사례로 보면, 앞으로의 북한과의 관계 설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북한의 계속되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등의 도발에 대처할 방법에 대한 대비가 있어야 하는 것도 사실.
때문에 청와대 만큼, 국방부도 대통령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윤 당선인 측은 용산 국방부 청사는 광화문 청사와 달리 경호·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라는 판단이다.
특히 국방부 부지 내 헬기 두 대가 이착륙 가능한 공간이 있고, 청사 내에 청와대 영빈관을 대체할 수 있는 국방컨벤션센터도 있다.
여기에 국방부 청사 내에는 유사시 피신할 수 있는 벙커도 있다.
즉, 다른 곳으로 집무실을 옮겼을 때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간다는 얘기다.
한편,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18일 이나 19일께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정권인수 작업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안철수 위원장을 필두로 윤 당선인은 대부분의 전문위원들의 인선을 마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