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뉴스=최준혁 기자) GM은 10억달러 이상의 청구서를 정부에 내밀었고, 정부는 미리 준비한 '3대 원칙'으로 응수했다.
이날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기자간담회에서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과 주주·채권자·노동조합 등 이해관계자의 고통 분담, 지속 가능한 경영정상화 방안 마련이라는 3대 원칙을 공개하면서 GM 측도 이에 수긍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GM이 아직 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경영 정상화 방안을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GM은 여러 경로를 통해 이미 한국 정부에 거액의 청구서를 내민 상태다.
GM 측은 우선 재무 개선을 위해 한국GM이 본사에 진 빚 27억달러(약 2조9000억원)를 출자전환할 테니 산업은행도 6500억원을 투자해 증자에 참여하라고 요구했다. 또 본사가 한국GM에 10년간 28억달러를 투자하는 대신 산은도 지분만큼 투자해달라는 조건과, 한국GM 공장이 있는 부평 등을 외국인 투자지역으로 지정해달라는 내용도 포함됐다. GM이 요구한 지원 규모는 1조6000억원이 넘는다.
배리 엥글 사장은 "노사가 합의안을 내지 못하면 3월 임금을 지급하기 어렵다"고 한국GM 노조 측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국GM은 23일 이사회에서 2월 말 만기가 돌아오는 차입금에 공장 등을 담보로 제공하는 안건을 논의한다. 회사 규정상 이 안건은 특별정족수(주주 85% 이상 동의)를 충족해야 해 산은 측이 거부할 수 있다.
정부는 한국GM에 대한 실사가 진행되는 동안 GM 측 요구 조건에 대한 세부적인 대응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동연 부총리는 "통상적인 속도보다 실사를 빨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