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료비가 가계에 부담 안 줘도 불안함 겪어
의료진, "암 초기부터 재정 지출 계획 상담해야"

(내외방송=정지원 기자) 암 환자는 의료비가 가계에 부담되지 않더라도 심리적으로 불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조주희 암교육센터 교수와 강단비 임상역학연구센터 교수 연구팀은 암정복추진기획단의 지원을 받아 2017년 10월~2018년 3월까지 암 생존자 72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재정독성'에 대한 설문 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재정독성'이란 암 환자들이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저축 고갈 등 물질적인 영억은 물론 스트레스와 걱정을 포괄하는 심리적 영역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고가의 항암 치료를 받는 암 환자가 겪는 재정적 문제를 항암제의 물리적 독성에 비유한 용어다.
암 환자가 이 재정독성에 노출되는 확률은 일반인보다 2.5배 높다.
암 생존자 727명의 평균 나이는 54세다.
이들은 대부분 가계에서 수입과 지출이 가장 많다고 여겨지는 시기에 '암'이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를 맞았다.
이들 중 26%는 의료비에 대한 걱정과 불안, 스트레스 같은 '심리적 재정독성 상태'에 놓여 있다고 답했다.
12%는 실제로 가계상의 어려움으로 물질적 재정독성을 경험한 적이 있었다.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얼마나 느꼈을까?
물질적, 심리적 재정독성 상태에 처한 이들의 47.2%는 '인생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냈다.
당장 가계에 문제가 되지 않아 물질적 어려움이 없는데도 심리적 재정독성을 호소하는 암 생존자들의 34.6%가 인생의 불확실성을 답한 것이다.
이 수치는 심리적으로 아무 부담이 없다고 답한 암 생존자보다 4.9배 높다.
이에 대해 조주희 교수는 "암이라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만났을 때 갑작스러운 의료비 부담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미래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며 "암 진단 초기부터 재정 지출 계획에 대해 의료진과 상담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