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한 11㎞에 달하는 장대터널 특성상 무선통신 장애에 대비하기 위해 고속도로 개통전인 지난 6월 소방에서 운용하고 있는 무전기(아날로그, 디지털)로 실제 교신 점검결과 아날로그 무전기는 터널 전 구간에서 무선교신이 원활한 것으로 확인됐고,
다만, 전파법 개정에 따라 오는 2019년 1월 1일부터 디지털 방식으로 전면 전환되는 디지털 무전기는 터널 내에 설치된 무선통신보조설비가 아날로그 통신망에 적합한 장비로 설치돼 교신이 되지 않는 현상을 강원소방에서 처음으로 인지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선통신설비 업체에 기술적 검토와 소방청(구, 국민안전처)에 제도개선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소방청에서는 무선통신 특성상 전국적인 현상으로 보고 도로 터널에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시설로 개선토록 국토교통부에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도 소방본부는 올해 교체사업이 완료되는 노후 무전기를 아날로그와 디지털 겸용무전기를 구매함으로써 터널에 대한 무선소통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으며, 보안성이 강화된 디지털 무전기로 교체되면 소방무선 불법도청 예방과, 무전기의 주파수 채널이 확대(기존 16개→46개)돼 일선 현장의 무선 혼신을 방지하고, 디지털중계기의 자동채널 전환기능(로밍) 등을 이용한 무선사용으로 현장 대응능력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터널에 대한 화재·교통사고 등 대형사고 시 최적 대응을 위한 종합적 계획을 수립하고, 오는 9월중 도상훈련을 실시해 현장지휘 강화와 신속한 인명구조에 적극 대처할 계획이다.
또한 국가재난통신망이 도내 전역으로 확대되면 경찰, 도로공사 등 유관기관 간 협력 체계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내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