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춘숙 대변인 “아직 이견 해소되지 않아 추가 조율에 나선다”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 “오늘 중으로 최종조율 거쳐 합의에 이를 것”

(내외방송=정영훈 기자)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을 비롯한 4+1 협의체가 17일 밤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대한 막판 합의를 시도했지만 최종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민주당과 정의당은 연동형으로 뽑는 비례대표 의석수와 이중등록제 도입 등에 대해서 상당 부분 의견 차이를 좁혔지만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등이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록 합의안 마련에는 실패했지만 오늘 오전 바른미래당, 정의당, 민주평화당 3당 대표들이 모여서 마지막 이견을 좁히는 조율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 의견이 모아져서 이후 4+1 협의체에서 합의안이 나온다면 이르면 내일 본회의에서 상정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어제 회동에서는 연동형으로 뽑는 비례대표를 30석으로 제한하는 연동형 캡을 내년 총선에서 한시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또 석패율제 대신 이중등록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두고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민주당과 정의당이 초안을 만들었지만 평화당이 연동형 캡에 반대했고, 바른미래당은 연동협 캡 의석수와 이중등록제 등에 대해서 다른 의견을 제시해 최종 합의가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이 끝난 뒤 민주당 정춘숙 원내대변인은 아직 이견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다며 각 당의 대표들이 만나 추가 조율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는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사이에선 입장 차이가 좁혀져 어제 합의 직전까지 갔다"면서 "사인하려고 검정 펜까지 챙겨서 갔지만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사이에 의견 차가 있어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윤 원내대표는 각 당이 오늘 중으로 최종조율을 거쳐 합의에 이를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18일 오전, 3당 대표들이 추가 조율을 한 뒤 여기서 의견이 모이면, 4+1 협의체는 다시 원내대표급 회동을 통해 최종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오늘 합의안이 만들어진다면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는 이르면 내일 본회의를 열어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를 추진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