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김택진 기자) 국내 300개 상장기업의 지난해 직원 수가 지난해 1만 7천여명 늘어난 가운데 남성이 80%, 여성이 20%로 고용 성별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지속성장연구소가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에 의뢰해 300개 상장기업의 2년간 성별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3분기말 기준 전체 고용인원은 99만 5361명으로 2018년보다 1.8%(1만 7631명) 증가했다.
남성은 1만 4088명(2.0%) 늘어난 반면, 여성은 3543명(1.3%)만 증가했다. 비율로 보면 79.9%가 남성, 20.1%가 여성이었다.
300개 상장기업 중 166개 상장기업은 여성 인력을 1만명 이상 늘렸으나, 123개 상장기업은 8천여명 줄어 실제 3500여명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 직원 비중이 가장 큰 업종은 IT 업종으로 IT 업종 매출 상위 30개 기업의 여직원 수는 27.6%를 차지하는 7만 7960명이었다. 그 다음으로 금융업 6만 4396명(22.8%), 유통업 6만 1048명(21.6%) 순이었다. 금융·전자·유통 3대 업종에 여성 인력이 70% 이상을 기록했다.
이어 식품업종 2만 3485명(8.3%), 석유화학 1만 5349명(5.4%), 전기·가스업 1만 88명(3.6%) 제약업 1만 67명(3.6%) 순이었다. 건설업은 5195명(1.8%)으로 가장 적었고, 섬유·패션업 6034명(2.1%), 자동차업 8791명(3.1%) 등은 여직원 수가 1만명 이하였다.
300개 상장기업 중 여성 직원이 가장 많은 기업은 삼성전자로 2만 7559명으로, 전체 여성 직원의 9.8%를 차지했다.
롯데쇼핑(1만 8397명), 이마트(1만 6346명), SK하이닉스[(1만 272명) 등도 여성 직원이 1만명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