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최유진 기자) 월경장애가 심한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이 높아지고 특히 청소년기에 더 두드러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7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연구 결과를 대한의학회 전문학술지를 통해 발표했다.
월경장애(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 무월경 등)는 가임기 여성에게 가장 흔한 문제로 신체적 통증 및 활동 제한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쳐 여성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22년에 실시한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생식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13-55세 여성 3,088명의 월경장애와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 대상자의 91%가 월경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증 월경장애 경험 여성은 전체의 57%이었다.
특히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 증상이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을 경험한 여성에서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각각 1.6배, 2.0배, 1.4배 높았다.
또 경험한 중증 월경장애 수가 많을수록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증가했는데, 이러한 연관성은 특히 청소년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중증 월경장애가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이 1개~3개로 증가할수록 높은 우울감이 각각 1.6배, 2.0배, 2.1배 높았으며, 특히 청소년기에서는 중증 월경장애를 1개만 경험해도 1.8배 높았고, 3개일 경우 약 2.8배로 성인 여성(1.9배)보다 높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월경관련 증상을 단순한 생리적 불편이 아니라 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건강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면서 전국 단위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