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지선 기자) 코로나19로 미뤄졌던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가 내년 개최 일정과 참여 작가를 확정지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제11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를 내년 9월 8일부터 11월 21일까지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국내외 작가 총 41팀이 참여한다.
제11회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는 한 차례 연기됐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지난 9월 개막 예정이었지만 1년 연기됐다.
예술감독은 융마 프랑스 퐁피두센터 큐레이터가 맡았다. 융마는 홍콩 M+미술관을 거쳐 현재 퐁피두센터에서 일하고 있다. 미디어에 특화한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가 외국인을 총감독으로 영입하는 것은 처음이다.
융마 감독은 내년 행사를 ‘하루하루 탈출한다’는 주제로 꾸미고자 한다. ‘도피주의와 맺는 새로운 관계’라는 주제로 오늘날 대중미디어에 나타나는 현실도피의 다양한 양상에 주목한다.
서울시립미술관은 현실 도피의 형식을 활용해 역으로 사회·정치적인 문제에 개입하거나 때로는 대항하는 대중미디어의 전략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기획 초기 참고했던 작품 중 하나는 미국 시트콤 ‘원데이 앳 어 타임’으로 1970년 동명 드라마를 재해석해 넷플릭스에서 선보인 작품이다.
전형적인 시트콤 형식을 유지하면서 원작에서 약간의 변화를 줘 재해석 했다. 원작의 백인 가족을 쿠바계 미국인 가족으로 완전히 탈바꿈 시키면서 일반적인 미디어 재현의 문법을 뒤집었다. 인종, 젠더, 계급, 성 정체성, 이민, 재개발, 폭력 등 동시대의 화두를 다뤘다.
참여 작가는 국내 10팀, 해외 31팀으로 류한솔, 정금형, 홍진훤, 아이사 혹슨, 유리 패티슨 등으로 절반 이상이 신작을 출품한다.
림기옹, 아마츄어 증포기 등 음악가도 참여한다. 취미가, 합정지구, ONEROOM 등 예술공간도 참여한다.
오는 12월 3일까지는 비엔날레 준비 과정을 공개하는데, 매주 목요일 비엔날레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볼 수 있다. 작가와 큐레이터 등의 대화를 담은 온라인 토크 시리즈다.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는 서울시립미술관이 2년마다 개최하는 미술 행사로 2000년 처음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