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서효원 기자)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이 자유무역협정(FTA)에 정식 서명했다. 이로써 우리나라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부품 등을 무관세로 이스라엘에 수출할 수 있게 된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는 통상교섭본부장이 1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아미르 페렛츠 이스라엘 경제산업부 장관과 한·이스라엘 FTA에 정식 서명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2016년 5월 FTA 협상 개시를 선언한 뒤 6차례 공식협상을 거쳐 지난 2019년 8월 최종 타결했다. 이후 서명에 필요한 국내 절차를 마치고 이번에 최종 서명했다.
정부는 관세가 즉시 철폐되면 이스라엘 시장 점유율 1위 자리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나라는 전체 품목 가운데 95.2%에 해당하는 상품의 관세를, 이스라엘은 95.1%의 관세를 철폐한다. 특히 우리의 주력 품목인 자동차(관세율 7%) 및 부품(6∼12%), 섬유(6%), 화장품(12%)에 적용되던 관세는 즉시 철폐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자동차와 부품은 지난해 우리나라가 이스라엘에 수출한 금액 중 46.9%를 차지한다.
한국산 자동차는 2019년 기준 이스라엘의 수입 자동차 시장에서 일본(15.2%)을 제치고 점유율 1위(17.6%)를 기록 중이다.
이스라엘에서 가장 많이 수입하는 품목인 반도체 제조용 장비에 대한 관세는 즉시 철폐하고 2위 품목인 전자응용기기 관세는 3년 이내 철폐하기로 했다.
아울러 양국은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연구 인력 교류, 법·제도·지재권 정보 교류 등을 통해 항공, 보건·의약, 빅데이터, 재생에너지, 농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협력 증진을 도모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