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의 도시는 '사천' VS 우주선의 도시는 대전·세종

(내외방송=권희진 기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가 항공우주청(이하 우주청)을 경남 사천에 신설 할 것이라는 계획에 대해 우주전문가들 사이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주학자인 문홍규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우주탐사그룹장은 3일 "인수위에 우주 전문가가 한 사람도 없이 우주기관 이전을 발표했다"며 "세종시에 대통령 집무실 설치와 국회가 이전하면 정부 관계 부처와 협업이 용이한 대전과 세종에 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그룹장은 이날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 "전문가로서 굉장히 무력감을 느낀다. 먼저 국가기관을 만드는 거라면 왜 만드는지 또 그 철학하고 비전을 논의를 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이 같이 말했다.
문 그룹장은 "인수위가 우주청의 사천 이전 결정을 내린 데에는 전문가 집단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위는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경남에 우주청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대전 지역 과학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앞서 지역 과학계는 대전에 우주청 유치를 추진했다.
문 그룹장은 "전 세계 항공우주 선도국 10개국 중 7개 나라는 우주기관이 수도에 입주해 있다"며 "우주 정책은 사실은 국가 수반이 직접 챙겨야 할 영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행정안전부, 법무부, 교육부, 등 국가 부처들은 대등한 기관들로, 우선 순위나 이해관계가 충돌할 때 그것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국방우주, 공공우주, 상업우주 등 세 가지 분야를 관장하는 모든 기관들이 대전과 세종에는 입주해 있다"고 말했다.
게다가 "항공우주 천문 분야의 대학들이 가장 많이 입주해 있는 곳이 대전·충청 지역"이라며 "거기다가 주요 산업체가 있고, 정부 출연 연구소가 20개가 넘게 입주해 있다"고 부연했다.
이는 우주청이 대통령 혹은 총리실 산하에 있으려면 대전에 우주 관련 연구단지가 모여 있는 대전·충청에 자리를 잡아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항공산업 분야가 밀집해 있는 사천에 우주청이 설립된다면, 우주 관련 사업이 상대적으로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우주 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도 좋을 것이 없다는 것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가 있는 사천에서 영호남을 아우르는 항공우주벨트를 조성할 것이라는 인수위의 계획에 대해 "KAI는 한국이 자랑할 만한 기업이며, 한화 등 많은 기업이 입주 해 있다"며 "호남 지역이 등장한 이유는 전남 고흥 발사장이 있기 때문이며, 벨트를 잇는 것은 맞다"고 인정했다.
다만, "한국에서는 국방 수요가 많기 때문에 항공 산업이 우주 관련 산업을 덮어 버리게 될 것"이라며 "우주 관련된 것이 사천으로갈 경우 그 방점은 우주가 아니라, 항공에 찍힌다는 의미"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