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지선 기자) 경기도 광명시와 고양시, 화성시 등의 구도심 4곳이 경기도 지역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됐다.
정부의 계획은 이를 통해 새 아파트를 약 7380가구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구체적으로 경기도 광명시 광명 7R구역과 고양시 원당 6, 7구역, 화성시 진안 1-2구역 등 4곳을 공공재개발 지역(경기도 내)으로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정부는 앞서 올 초 두 차례에 걸쳐 서울 지역 공공재개발 후보지 24곳을 발표했고, 서울 외 지역의 공공재개발 후보지를 이번에 처음으로 추가하게 됐다.
이를 통해 수도권 도심에서 모두 3만 2000가구의 신축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경기도는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함께 지난해 12월부터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를 실시했다.
주민 10% 이상의 동의를 얻은 노후지 10곳이 공모에 참여했고, GH는 이 10곳의 정비사업 추진 여건을 검토한 후 지난 13일 공공재개발 후보지 선정위원회를 개최했다.
선정위원회를 통해 최종 후보지를 선정했다. 선정하게 된 기준은 정비의 시급성, 주민 및 지자체의 사업 의지, 주택공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했다.
광명7R 구역의 경우 지난 2007년 광명재정비촉진기구로 지정됐으나 IMF금융위기에 따른 분양수요 감소 등으로 사업성이 악화돼 2014년도에 주민동의를 거쳐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바 있다.
고양시 원당 6, 7구역은 지하철 3호선 원당역 인근 역세권 지역으로, 도시재생이 추진되는 곳이었으나 공공재개발로 방향을 바꿨다.
이들 지역은 그간 재개발 추진 동력이 부족해 2018년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후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관리돼 왔다.
화성 진안 1-2구역은 1호선 병점역 인근으로 2014년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추진력 부족으로 사업이 정체된 바 있다.
공공재개발은 공공기관이 사업 시행에 참여하고 공공임대를 일정 비율 이상 공급하는 대신 용적률 인센티브 등을 받음으로 사업성을 개선하는 재개발 사업을 뜻한다.
공공재개발은 법정 상한 용적률의 120%까지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늘어나는 용적률의 20~50%는 공공임대주택 등으로 분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