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이지선 기자) 국내에서 코로나19 접종을 모두 마친 뒤에도 확진되는 이른바 '돌파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돌파 감염은 정해진 접종 횟수를 마치고 2주간의 항체 생성기간이 지난 후에도 감염되는 경우로, 변이 확산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지표 사례로 여겨지기도 한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이후 국내 돌파 감염 사례가 총 4건으로 확인됐다.
이는 접종 완료자 148만 2842명 전체로 볼때 0.0003%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방대본은 권장 기준 즉 접종 횟수와 간격 등을 고려해 예방 접종을 다 완료했음에도 감염되는 경우를 돌파 감염 사례로 분류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권장되는 회수에 따라 백신을 맞고 14일이 경과한 후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체 또는 항원이 검출되는 경우를 돌파 감염으로 정의하고 있다.
4명 가운데 2명은 역학조사 결과 2차 접종을 한 뒤 14일 지나기 전에 확진된 것으로 추정돼 백신 효과와의 개연성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방대본은 설명했다.
나머지 2명은 14일이 지난 후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며, 임상 증상은 특별히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돌파감염 첫 번째 환자는 영남 지역에 거주하는 20대 간호사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환자의 경우 지난 3월 18일 화이자 백신을 1차로 맞았고, 접종 간격인 3주가 지나 4월 8일에 2차 접종을 맞았다. 그런데 이달 18일 즉 2차 접종 후 약 40일이 지난 후 확진 판정을 받았다.
어버이날 가족 모임을 통해 전파 감염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 간호사의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해 "첫 돌파 감염자였던 20대 간호사 분은 '우려' 또는 '관심' 바이러스에는 해당되지 않는 비변이 바이러스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환자의 정확한 감염경로와 바이러스의 특징 등을 분석하고 있다.
방대본은 "어떤 백신이든 제대로 접종 완료를 한 뒤에도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은 있다"면서 "돌파감염의 경우 증상이 미미하거나 무증상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 방대본은 "그간의 분석을 보면 코로나19 접종은 거의 90%에 달하는 예방 효과가 있었고, 예방 접종을 한 경우에는 감염이 되더라도 중증으로 진행되거나 2차 감염이 크게 줄어든다"며 적극적인 접종 협조를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