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외방송=정영훈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코로나 19 사태 대응 등에 대한 긍정적 평가로 지난주보다 2%p 오른 5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8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17일 한국갤럽은 4·15 총선 직전인 지난 13∼14일 전국 만 18세 이상의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은 95%에 표본오차 ±3.1%p이다.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 평가는 전주보다 2%p 하락한 33%였으며 8%는 의견을 유보했다.
앞서 한국갤럽 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도는 2018년 10월 4주차에 58%를 기록, 60% 밑으로 하락한 바 있다.
대통령 직무 수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사람의 54%는 ‘코로나19 대처’를 꼽았고, 그 외에 ‘최선을 다함(6%)’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갤럽은 “코로나19 관련 응답은 10주째 1순위 긍정 평가 이유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8∼29세에서 긍정 54%, 부정 33%로 나타났고 30대에선 긍정 75%, 부정 22%로 집계됐다. 40대는 긍정 66%, 부정 31%로 나타났으며 50대에선 긍정 65%, 부정32%를 기록했다. 60대 이상에서는 긍정과 부정이 각각 45%와 44%로 조사됐다.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1%, 미래통합당 25%, 정의당 5%, 국민의당 4%, 열린민주당 3% 순이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18%를 기록했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민주당과 정의당은 각각 3%p와 1%p 하락했고, 통합당과 국민의당이 각각 2%p, 1%p 상승했다.
한편 이번 총선에서 여당인 민주당이 압승한 가운데 총선 직전에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도 이른바 ‘정부 지원론’이 크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49%는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이 다수 당선돼야 한다’고 답했지만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이 다수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9%에 그쳤다.
연령별로는 30∼50대에서는 ‘정부 지원론’ 의견이 60% 안팎으로, 60대 이상에서는 ‘정부 견제론’ 의견이 54%로 각각 우세하게 나타났다. 반면 20대에서는 정부 지원론과 견제론이 40% 내외로 비슷했다.
한국갤럽은 “이른바 정부 지원론 대 견제론은 올해 2월과 3월 초 응답이 팽팽하게 갈렸으나 이후 완화됐고, 선거에 임박하면서 다시 그 간격이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비례대표 지지 정당 조사는 더불어시민당 25%, 미래한국당 23%, 정의당 1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선거 직전에 이뤄진 이 조사에서 부동층은 22%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권자 다섯명 중 한명꼴이다. 다만, 실제 선거에서는 한국당이 33.84%, 시민당이 33.35%, 정의당이 9.67% 등을 득표했다.
한국갤럽은 “이번 선거 직전 이틀간 투표 의향 비례대표 정당 조사 결과와 실제 선거 최종 득표율을 비교하면, 유권자 일부가 마지막 선택의 순간에 소수 정당보다 양대 정당으로 마음을 돌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풀이했다.
자세한 여론조사 개요 및 결과는 한국갤럽이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